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2019년 7월 6일 두 편의 영화~
    세상 (Life)/일상 (Happiness) 2019. 7. 11. 06:49

     

     

    한 주일 동안 사슴 사건과 눈다라기 후유증으로 집에서 지내며 영화를 두편 빌려다 봤다.

    ‘파리로 가는 길’과 ‘가버나움’

    사실은 두 편 다 그 동안 건성으로 듣던 송태근목사님의 누가복음 강의를 집중적으로 스토디모드로 듣다가 강의 중에 소개받은 영화다.

    마침 시간도 있고 흥미도 생겨서 동네 도서실에서 빌렸다.

     

    1. 파리로 가는 길 (Paris can wait)

    누가복음 4장 1-13절 예수님께서 40일 금식후 시험 받으시는 사건을 위해 잠깐 도입부에 소개됐던 영화다.

    어쩔 수 없는 상황에 처한 두 남녀가 파리로 가면서 일어나는 영화다.

    일반 관광으로는 접할 수 없는 숨은 명소와 작은 규모의 박물관, 그리고 세팅이 지나치게 멋있고 맛있어 보이는 음식들에 눈이 호강을 한다.

    마지막에 살짝 흔들리는 여주인공과 함께 여운이 깊이 남겨지는 영화는 섬세함이 대단하다.

    대 반전은 감독이 기존 감독의 부인인 80세 할머니라는~

    게다가 본인은 상업성 영화로는 처음 찍은 거라는~

    2. 가버나움(Capernaum)

    7장 1절에 소개된 성경속의 지명이지만 영화의 배경은 레바논에 살고있는 난민들의 이야기다.

    등장인물들이 모두 진짜 배우가 아닌 난민들이다.

    스토리는 주인공 12살 남자아이가 부모를 고소하면서 시작된다.

    아이를 낳기만 하고 키워주지 않는 부모를~

    11살 동생을 수퍼집 남자에게 닭 한마리값으로 시집보낸 부모를~

    임신한 동생이 하혈로 죽은 소식을 나중에 듣고 칼부림하다가 5년 형을 선고받고 교도소에서 지내던 중 그를 방문한 엄마의 입에서 또 임신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 절망한다.

    우연히 공영방송에 건 전화가 채택이 되어 전국적으로 방송이 나가게 되면서 모두 법정에 서게된다는 이야기다.

    특별한 것은 이 영화도 젊은 여성이 감독이고 실제로 영화속에서 주인공 남자의 법정 변호인으로 등장한다.

    그리고 영화 발표후 영화에 출연했던 난민들은 보호를 받게되었다는 굿 뉴스~

    많은 생각을 하게하는 두 편의 영화였다.

     

    또 하나의 반전~

    영화 ‘가버나움’ 이 우리 동네 분점 도서실에는 없고 조금 떨어져 있는 본점에 있다가에 예약을 하려고 했더니 도서실직원이 내 발음을 못 알아 듣는다.

    그러다가 스펠링을 말해주니 ‘아~ 케퍼넘’ 한다.

    가버나움’ 이 아니고 ‘캐퍼넘’ 이란다.

    성경속 지명으로 너무도 익숙해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황당했다.

    아직도 멀고 먼 영어의 길이다.

    내가 소심한 복수로 내 발음은 영국식이었다고 하니 맛장구를

    쳐준다.

    “맞아 우리 미국사람이 발음을 다 망가뜨렸어~” 라고~

    그래도 기분 상하지 않게 마무리를 해줘서 고마웠다.

Designed by Tistory.